K-패스(케이패스) 교통카드 신청, 누리집 홈페이지 바로가기

2024년 4월 30일 대중교통 이용자 대부분이 사용하던 알뜰교통카드 사업이 종료됩니다.

대신 알뜰교통카드의 진화형이라고 할 수 있는 ‘K-패스’ 교통카드가 예정보다 앞당겨 2024년 5월 1일부터 사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혜택을 받으려면 미리 신청하고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아래에서 K-패스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신청 방법, 홈페이지 등록까지 알아보겠습니다.

K-패스란 무엇인가?

✅ 주요내용

시행일 : 2024. 5. 1

이용횟수 : 월 15회 ~ 최대 월 60회

물가가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는 언론보도는 이제 지루하기 까지 하는데요. 일상생활을 하면서 필수적으로 지출해야 하는 비용 중 하나가 교통비일 것입니다.

그래서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국민들에게 교통비 절감 효과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해 여러가지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그중 하나가 바로 ‘K-패스’ 교통카드 입니다.

K패스 교통카드는 2024년 5월 1일부터 대중교통 이용 금액의 일정 비율을 적립해 주는 교통권 인데요. 만 19세 이상 국민이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한 교통비 할인카드 입니다.

일상생활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계신 성인이라면 대한민국 대표 교통카드인 K패스 교통카드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겠네요.

알뜰교통카드도 일정 금액을 마일리지로 적립해 주었지만, K-패스는 이동 거리가 아닌 지출한 실제 대중교통 비용을 기준으로 하고 적립률도 알뜰교통카드보다 높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구체적으로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가입 첫 달은 15회 미만 이용 시에도 지급) 지출한 교통비에서 일반인은 20%, 청년은 30%, 저소득층은 53%를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월 최대 60회까지만 지원을 받을 수 있고요.

과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활용이 수반되는 교통카드에 비해 사용 방법이 쉽고 편하며, 적립률도 높아 교통비 절감 효과가 높다는 정부의 홍보내용입니다.

이외에도 출발, 도착 입력없이도 K패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참 편리한 것 같습니다.


K-패스 교통카드 신청

K-패스 교통카드 신청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

✅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

1) 알뜰통카드 홈페이지 / 앱에서 회원 전환

2) 5. 1. K-패스 앱으로 업데이트

3) K패스 홈페이지 / 앱에 로그인

4) 카드 이용 시 자동적립

기존에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였고 앞으로도 알뜰교통카드를 주된 교통카드로 계속 사용하고자 한다면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즉, 별도로 번거롭게 K패스 교통 카드를 별도로 발급받거나 K-패스 회원 가입 절차가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알뜰교통카드는 4월 30일 기준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고 말씀드렸죠?

그렇기 때문에 알뜰교통카드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회원 전환 절차를 꼭 거쳐야 합니다. (알뜰교통카드 회원 ➡︎ K 패스 회원)

회원 전환 기간은 2024년 6월 30일까지 이지만 K패스 시행 일자인 5월 1일부터 혜택을 받으려면 적어도 4월 30일까지는 회원 전환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회원 전환을 했다면 5월 1일 ‘K-패스’ 앱으로 업데이트 하고 기존 알뜰교통카드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면 그대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당부드리면, 회원 전환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K-패스 교통카드를 발급받더라도 혜택을 받을 수 없으니 아래 사이트를 통해 회원 전환 절차를 꼭 하기기 바랍니다.

K패스로 회원 전환 바로가기

신규 K-패스 카드 이용

1. K-패스 카드발급(카드사) 신청

2. 5. 1.부터 K-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3. 카드 이용 시 자동 적립

K패스 교통카드를 새롭게 발급 및 신청하기 위해서는 먼저 카드사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이번 K패스 교통카드 발급 카드사는 총 10개 회사로서 각 카드사은 교통비 환급 이외에 카드 이용 실적에 따라 추가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K패스 카드를 신청할 때 카드사 별로 비교해 보고 나에게 도움이 되는 카드사 선택이 중요하겠죠!

카드사를 선택하였다면 2024년 4월 24일부터 각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K-패스 카드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 케이패스 신청 카드사(선불)

신한현대
우리BC
하나국민
삼성농협
기업케이뱅크

✅ 케이패스 신청 카드사(후불)

모바일 이즐DGB유페이

하지만 K패스 사용 일자가 5월 1일이기 때문에 그전에 교통카드를 발급받았다면(4. 24. ~ 4. 30. 사이) 일단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나 앱에 카드 등록을 하고 사용한 다음 K패스로 회원 전환을 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5월 1일이 되면 K패스 누리집 홈페이지 또는 K패스 앱 또는 K패스 어플에서 회원 가입을 한 뒤 교통카드를 사용하면 자동 적립이 됩니다.

✅ 회원가입 절차

1. 홈페이지 또는 앱에 접속

2. 발급 카드번호 15~16자리 입력, [유효성체크] 클릭

3. 필수약관 동의 / 본인인증 진행

4.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주소지 검증

5. 필수 회원정보 입력 후 완료

👇 K패스 앱 다운 👇

스크린샷 2024 04 20 오전 1.41.17
스크린샷 2024 04 20 오전 1.41.24

K패스 고객센터

031-427-4415

적립률 및 지급 방식

적립률

적립예) 1,500원예) 2,000원예) 3,000원
일반20%300원(월18,000원)400원(월24,000원)600원(월36,000원)
청년30%450원(월27,000원)600원(월36,000원)900원(월54,000원)
저소득53%800원(월48,000원)1,070원(월64,000원)1,600원(월96,000원)
✅ 청년 : 만 19세 ~ 만 34세

✅ 저소득 :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K패스 적립금 지급방식

K패스 환급금액은 실시간으로 확인 할수는 없지만, 대중교통 이용 후 최대 14일 이후에 K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K패스 적립은 적립월의 다음달 5영업일에 카드사로 정산금액을 보내는데, 월 15회 이상 사용 시 적립금액이 높은 순서대로 최대 60회까지 지급받게 됩니다.

지급 방식은 카드 결제일, 7 ~ 9 영업일 사이, 정해진 날짜에 나누어 지급됩니다.

📌 카드 결제일 지급

● 하나카드

결제일에 결제대금에서 차감. 결제 대금이 없는 경우 연결 계좌로 입금

월 초 지급일 및 지급액은 문자로 발송

● BC바로카드 : 결제대금에서 차감

● IBK기업은행

결제일에 결제대금에서 차감. 결제 대금이 없는 경우 연결 계좌로 입금

● 현대카드 : 결제일에 결제대금에서 차감

● 광주은행

결제일에 이용대금에서 차감

📌 7~9 영업일 사이 지급

● 신한카드

다음달 7영업일 이후 결제대금에서 차감. 결제대금이 없는 경우 계좌로 입금

● 우리카드

다음달 7~9영업일 이후 결제대금에서 차감. 결제대금이 없는 경우 계좌로 입금

● 삼성카드 : 다음달 7~8영업일 계좌로 입금

● IM원패스

(모바일 카드) 다음달 7영업일 원마일리지로 지급

(실물카드) 10,000원 이상은 DUG유페이 홈페이지에서 신청

지급 수수료 500원 발생하여 10,500원 이상 신청 가능

📌 정해진 날짜에 지급

● 국민카드

다음달 마지막 영업일 내 계좌 입금

● NH농협카드

다음달 익월 15일 내 계좌 입금

● 케이뱅크

다음달 15일 계좌로 입금

● 모바일이즐

다음달 20~27일 오전 10시까지 모바일 이증앱의 선물함으로 지급

기간 내 미수락시 다음달까지 이월처리되고, 다다음달까지 미수락시 소멸

● 이즐 / 카카오페이

다음달 직립월의 익월 20 ~ 27일 오전 10시까지 카카오페이 앱의 쿠폰함 지급

기간 내 미수락시 다음달까지 이월처리되고, 다다음달까지 미수락시 소멸

● 티머니

다음달 16일 지급, 티머니페이앱에서 확인


참여지역 및 대상

참여지역 및 대상

참여지역

K-pass 참여지역, 즉 K-pass를 이용할 수 있는 지자체는 전국 189개 입니다. 사실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이후에는 더 확인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인구 10만 명 이상인 기초단체는 물론이고, 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및 서귀포시도 포함되고, 인구 10만 명 미만인 기초자치단체 중 일부 지역은 사용일 불가능합니다.

참여 대상

K-pass 교통카드 적립 수단은 전국 모든 대중교통이 해당됩니다. 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시외(고속, 공항)버스, KTX, SRT 등 별도로 발권을 받아 탑승하는 교통수단은 대상에 포함되지 않으니 이용해 착오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타 교통카드와 비교

기후동행카드

👇 기후동행카드(교통카드) 비교 👇

기후동행카드와 비교

The 경기패스

✅ 경기도 주소지인 만 19세 이상

✅ 월15회 ~ 무제한 지원

✅ 일반 20%, 청년(19~39세) 30%, 저소득층 53% 환급

The 경기패스 카드는 경기도민 교통비 부담 완화 및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민 맞춤형 교통비 지원 카드 입니다.

만 19세 이상 경기도민이면 누구나 대중교통 이용 시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범위는 위 K패스와 동일하게 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이 해당되고, 시외(고소)버스, KTX, SRT 등 별도 발권받아 탑승하는 교통수단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K패스 지원금액은 대중교통 이용횟수가 월 15회 이상 최대 60회까지 지원을 해주지만, 인천 I패스는 월 15회 이상만 사용하면 무제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적립율 30%를 지원받을 수 있는 청년 나이가 K패스는 만 19세 ~ 만 34세 이지만, 경기패스는 만 19세 ~ 만 39세로 지원 범위가 더 넓습니다.

인천 I패스

✅ 인천광역시가 주소지인 만 19세 이상

✅ 월15회 ~ 무제한 지원

✅ 일반 20%, 청년(19~39세) 30%, 저소득층 53% 환급

인천 I패스 사업은 정부의 K패스를 기반으로 지원 범위와 혜택을 넓혀 추진하는 인천형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입니다.

만 19세 이상 인천시민이면 누구나 대중교통 이용시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범위는 위 K패스와 동일하게 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이 해당되고, 시외(고소)버스, KTX, SRT 등 별도 발권받아 탑승하는 교통수단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K패스 지원금액은 대중교통 이용횟수가 월 15회 이상 최대 60회까지 지원을 해주지만, 인천 I패스는 월 15회 이상만 사용하면 무제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적립율 30%를 지원받을 수 있는 청년 나이가 K패스는 만 19세 ~ 만 34세 이지만, 인천I패스는 만 19세 ~ 만 39세로 지원 범위가 더 넓습니다.

적립금 지급방법은 K패스 카드 사용 익월에 청구할인(신용카드), 계좌입급(체크카드), 충전(모바일 선불카드) 방식 등 카드사의 지급 방식에 따라 지급됩니다.

단, 하나카드의경우 사용 2개월 후에 마일리지 형태로 지급된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인천 I패스 이용방법은 위 K패스와 동일하게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회원 전환을 하거나, K-패스 카드 신규가입 방식으로 회원등록을 한 뒤 이용하시면 됩니다.

QnA

회원정보

Q. 저소득층 적립금액 상향 신청 방법

Q. 주소지(지자체) 변경 방법

Q. 개명했어요 이름을 변경하고싶습니다

Q. 아이디가 생각나지 않아요 아이디 찾는 방법

Q. 비밀번호를 변경하고싶어요 비밀번호 재설정 방법

Q. 휴대폰번호 변경하는 방법

Q. [알뜰 > K-패스 회원 전환] 소셜계정 로그인 방법

적립

Q. 적립기준(적립 가능한 대중교통 수단)

Q. 4월 알뜰교통카드 적립금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지급

Q. IM원패스 실물카드 지급 방법

Q. 지급일은 언제인가요?

카드

Q. 모바일이즐 사용중인데 “사용불가” 또는 적립이 안되는것 같다면?

Q. 카드 변경 방법 및 변경 시 지급 안내

Q. 후불교통카드를 모바일로 이용할 때 꼭 알아야 할 점

Q. 카드분실 재발급, 재발급 후 카드 등록

Q. 카드 태그시 오류 또는 잔액 부족으로 이용이 불가합니다!

이용방법

Q. K-패스는 출도착 버튼 안눌러도 되나요?

Q. 알뜰교통카드에서 K패스 전환완료했으나 K패스에서 로그인안되는경우

정리

정부나 지자체에서는 서민들의 교통비 절감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계시다면 이번 시행하는 K패스 교통카드를 신청하셔서 교통비 절약에 도움디 되시길 바랍니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